
바쁜 현대인들은 아침을 거르기 쉽습니다. 건강한 생활을 위해서는 아침은 꼭 챙겨 먹는 것이 좋은데요. 바쁜 아침, 건강한 식사 대용으로 공복에 먹으면 좋은 음식과 나쁜 음식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 드리겠습니다.
공복에 먹어도 좋은 음식
공복에 먹어도 좋은 음식 7가지에 대해 정리했습니다.
1. 양배추
: 대표적인 음식으로 양배추가 있는데, 위의 점막을 보호하고 재생에 도움을 줍니다. 비타민 U가 풍부해서 위염과 위궤양, 위에 좋은 음식으로도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. 식이섬유까지 풍부해 배변 활동에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.
2. 오이
: 오이는 고혈압이 있는 분들에게 좋습니다. 오이의 칼륨 성분은 나트륨 배출을 도와 혈압 환자에게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. 오이는 95%가 수분으로 이루어져 수분 보충에도 도움이 되고, 식이섬유가 풍부해 배변 활동과 장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. 또한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나 혈당에도 부담 없는 채소입니다.
3. 삶은 달걀
: 삶은 달걀을 하루 1~2개 먹으면 하루 권장량의 단백질 보충과 포만감에 좋은 음식입니다.
4. 꿀
: 아침 꿀은 장 운동을 촉진시켜 변비에 좋고, 몸의 활력을 도와 잠을 쉽게 깨는데 도움이 됩니다. 꿀은 80% 이상이 단당류 성분이라 에너지원으로 쉽게 흡수됩니다.
5. 당근
: 비타민, 섬유소, 카로틴이 풍부한 당근은 생즙으로 먹게 되면 활력 충전에 도움이 됩니다. 당근의 대표적인 베타카로틴 성분은 껍질에 많기 때문에 잘 씻어 껍질째 먹는 것이 효과적입니다.
6. 사과
: 장운동을 도와 배변활동에 효과적인 사과는 펙틴이라는 식이섬유 덕분입니다. 아침 식사 후나 공복에 먹어도 좋은 과일입니다. 잠자리에 들기 전 사과는 가스를 만들어 속을 더부룩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.
7. 감자
: 비타민B, C 가 풍부한 감자는 위 보호와 점막을 강화시키는데 효과적입니다. 그렇기 때문에 위산이 적게 분비되는 아침 공복에 먹으면 더욱 효과적입니다.
공복에 나쁜 음식
공복에 나쁜 음식 6가지를 정리했습니다.
1. 토마토
: 토마토의 타닌 성분은 위벽을 자극하여 위산 분비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공복에 먹으면 속이 쓰릴 수 있습니다. 또한 토마토의 펙틴 성분은 위산과 만나면 덩어리로 만들어지는데 이 때문에 소화불량이나 속 쓰림 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.
2. 고구마
: 포만감이 높아 아침 식사 대용으로 많이 먹는 음식이지만, 타닌 성분이 들어 있는 고구마는 공복에 먹게 되면 속 쓰림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또한, 혈당을 급격하게 올릴 수 있고, 당뇨 환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. 고구마를 굽거나 찌면 탄수화물이 당으로 분해되어 혈당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.
3. 우유
: 뼈 건강에 좋은 우유는 칼슘과 단백질이 풍부하지만, 빈 속에 마시면 위산의 분비를 촉진시켜 속 쓰림 만들기도 합니다. 식사 대용으로 우유를 마시려면 빵이나 견과류, 또는 시리얼 등과 같이 먹는 것이 좋습니다.
4. 바나나
: 마그네슘 함량이 높은 바나나는 공복에 먹게 되면 칼륨의 균형을 깨뜨려 저혈압 환자나 신장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는 좋지 않습니다.
5. 귤
: 다양한 산 성분을 갖고 있는 귤은 공복에 먹게 되면 많은 위산을 분비시켜 위점막을 자극시키게 됩니다. 자극된 위점막손상으로 속 쓰림과 역류성 식도염을 만들어 냅니다. 자몽, 오렌지, 레몬 등의 산도가 높은 과일은 피하는 게 좋습니다.
6. 감
: 펙틴과 타닌산 성분이 풍부한 감에는 위산과 화학반응을 일으킵니다. 이러한 반응은 응고로 이어져 소화불량 및 위 결석까지 이어질 수 있기에 공복의 감은 좋지 않은 음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.
지금까지 공복에 좋은 음식과 나쁜 음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확인하셔서 건강한 생활을 하시길 바랍니다.
'건강 생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체중과 염증의 도움이 되는 고구마순 효능 10가지 (0) | 2023.07.06 |
---|---|
구충제 먹어야 할까? 먹는 횟수와 방법 (0) | 2023.07.05 |
브라질리언 왁싱 주기와 시술 후 주의사항 그리고 장점 (0) | 2023.07.04 |
설탕을 끊으면 일어나는 몸의 변화 (0) | 2023.07.04 |
이른 기상을 원한다면? 일찍 일어나는 방법 (0) | 2023.07.04 |
댓글